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로 확인하여 소득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고 싶었습니다.
우리는 급여를 받을 때 근로계약서에 작성한 연봉을 12달로 나누어 지급을 받습니다.
하지만 연봉 4800만원이 400만원 실수령을 하지는 않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4대보험에 대한 보험료를 제한 금액을 실제로 수령하게 됩니다. 또한 매년 4대보험에 대한 비용 변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연봉에 따른 실수령액은 얼마가 될지 다음 연봉표를 보고 찾아보시면 되겠습니다.
- 2022 요율을 적용한 실수령액 표 입니다.
- 비과세 급여나 수당 등은 포함하지 않은 금액입니다.
- 부양가족 1인 기준입니다.
- 원천징수 방식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더 정확한 실수령액은 고용노동부 계산기를 통해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2022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고용노동부 - 최저임금 모의계산기
www.moel.go.kr
● 연봉 1000만원~2900만원
연봉 1000만원~1200만원 구간은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내지 않고 4대보험만 공제 후 실수령 하게 됩니다.

연봉 1000만원에서 2900만원 구간은 사회 초년생이 많은 구간으로 아르바이트, 중소기업 등에서 초봉으로 볼 수 있는 구간입니다. 아르바이트와 달리 기업에 다니면 수당이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연봉 실수령액 표에서 보는것보다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은 실수령액이 약 172만원 정도 되어서 연봉 2300만원을 받는다면 최저임금 연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시 2300만원 부터 시작한다면 최저임금을 주는 회사라고 보셔도 될것 같습니다.
● 연봉 3000만원~4900만원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 초봉에 해당하는 구간입니다. 연봉 3600만원 실수령액이 300만원이 아닙니다.
실수령액 300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연봉 600만원이 많은 연봉 4200만원 이상을 근로계약하여야 합니다.

● 연봉 5000만원~6900만원
대기업 연봉이 있는 구간입니다. 연봉 5000만원 부터는 실수령액이 350만원을 넘어가게 됩니다. 실수령액 450만원이 되려면 연봉은 6500만원이 넘어야 합니다. 이 구간은 실수령액 100만원 올리는데 연봉 1500만원을 넘어야 가능합니다. 세금도 열심히 내야 합니다.
6900만원 부터는 공제액 합계도 100만원이 넘어갑니다. 열심히 일한 나는 세금도 열심히 냅니다.

● 연봉 7000만원~8900만원
실수령액 500만원을 받는 구간입니다. 연봉 7500만원이면 가능합니다. 연봉 7500만원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부장님은 연봉 6000만원 이던데.... 전 할 수 있습니다.
연봉이 올라갈수록 내는 세금도 많아지기 때문에 실제 연봉차이가 많아도 실수령액은 그만큼 차이를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연봉 9000만원~10900만원
고수익자가 있는 구간입니다. 연봉 1억 실수령액은 640만원이 약간 넘습니다. 월급 1000만원은 도대체 누가 받는지 궁금해 졌습니다. 연봉 1억을 받아도 600만원대 입니다. 연봉 1억 400만원을 받으면 세금이 200만원을 넘게 됩니다.

● 연봉 11000만원~15000만원
연봉 킹이 있는 구간입니다. 1억 5천 실수령액이 900만원도 아닌 860만원이 조금 넘습니다. 세금을 300만원 내려면(보통 직장인? 월급)연봉 1억 3천이면 가능합니다.

사람인 연봉 계산기 입니다. 실제 해보시고 싶으신 분께서 입력해 보세요.
연봉 계산기 | 2022년 연봉 실수령액
연봉 계산기 | 2022년 연봉 실수령액 계산, 연봉/월급으로 확인하는 연봉계산기, 세후 월급계산 - 사람인
www.saramin.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