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억마련 청년도약계좌 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정리

by ⓞlllilllllll¶ 2022. 4. 18.

1억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공약과 현 정부에서 시행중인 청년희망적금 내용을 알오보고 비교해 보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공약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하지만 형평성 논란과 재원에 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데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어떠한 장점과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신청하도록 해요.

 

■ 청년도약계좌란?

사업이나 근로소득이 있는 만 19세~34세의 청년이 매월 70만원 이내의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10만~40만원을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이렇게 10년 적금을 하면 만기에 1억원이라는 목돈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취지는 청년희망 적금과 비슷하지만 최대 납입금액 범위가 폭넓어 청년들의 신청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혜택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면 월 70만원씩 연 3.5% 복리를 10년간 받고 만기시 1억원 지급으로 설계된 상품입니다.

  • 청년희망적금 2년만기 : 최대 45만 6000원 혜택
  • 청년도약계좌 10년만기 : 최대 5754만원의 혜택

단기적인 이율은 청년희망적금 이율이 10% 여서 크게 보이는데 총 금액을 보면 청년도약계좌가 훨씬 이득으로 생각이 됩니다. 10년이라는 기간이 길다고 느낄 수 있지만 돈을 모으기 위하여 무조건 해야 하는 정책이라고 생각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소득구간별 정리

  • 연소득 2,400만원 이하 : 납입액 최대 30만원, 정부 40만원 
  • 연소득 2,400만원 ~ 3,600만원 : 납입액 50만원, 정부 20만원
  • 연소득 3,600만원 ~ 3,800만원 : 납입액 60만원, 정부 10만원
  • 연소득 4,800만원 이상 : 납입액 70만원, 정부지원 X(소득공제 및 비과세 혜택)

     ※ 10년 가입기간 중 처음 가입시보다 소득이 상승하면 소득구간에 맞게 조정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 34세 미만 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연 소득 관계없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나이 제한 말고도 연소득 3,600만원 이하의 소득제한이 있었고 가입 당시 청년 사이에서 수혜대상이 공정하지 않다는 논란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청년도약계좌는 불평등 논란으로부터 좀 더 자유롭고 가입대상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문제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공약인 청년도약계좌 제도는 아직 시행 전 제도입니다. 현 출시된 금융상품 중 가장 큰 혜택을 볼 수 있을거라는 기대를 가지게 됩니다.

구체적인 자금 조달 계획을 뚜렷이 안나타 있습니다. 약 290만명 가입이 예상되는 이 이상품에 가입하면 10년간 정부가 최소 34조 8000억 원을 부담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이 불가능 합니다. 그로인해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안도 계획중에 있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정책이 시행되면 청년들에게 상당한 혜택을 주는건 기정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재원 마련 계획과 금융권 조율이 없는 상태여서 공약이 시행될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정책이 시행되면 꼭 가입하여 혜택을 보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