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근육좌상을 알아보자

by ⓞlllilllllll¶ 2022. 10. 11.

근육좌상을 알아보자

근건단위가 단위 내의 가장 약한 요소의 신전력이나 인장력을 초과하여 과도하게 스트레치 되거나 과도한 저항에 대해 수축하도록 강요되면 근건접합부나 인대의 골접합부에서 근육섬유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해를 좌상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인대 염좌와 같이 근육 좌상은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 1도 좌상 : 근육이나 건섬유 일부가 늘어지거나 찢어졌다. 움직이면 압통이나 통증이 유발되며, 움직이면 아프거나 완전 가동범위는 대개 가능하다.
  • 2도 좌상 : 근육이나 건섬유 일부가 찢어지고 근육의 동적인 수축 시 극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근육섬유가 찢어진 근복부위를 만져보면 함몰부 같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 3도 좌상 : 근육이 건으로 변하는 부위나 건의 뼈 접착부위에서의 완전한 파열이 생긴 경우이다. 선수는 동작의 심한 장애를 내지는 상실을 보일 수 있고, 통증은 처음에는 강렬하다가 신경 섬유의 완전한 단절에 의해 급속히 감소한다. 

근건파열은 상지의 이두건이나 하퇴 후측 아킬레스건에서 자주 발생한다. 건이 파열되면 근육이 근위 접착부 쪽에서 뭉쳐지는 경향을 보인다. 수술적으로 치료되는 아킬레스건 파열의 예외를 제외하고 3도 좌상의 대부분은 일정기간 비가동화의 보존적 치료가 적용된다.

댓글